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모의계산입니다. 직장을 다니지 않는다면 매달 내야 하는 건강보험료를 직접 계산해야 하는데요, 계산 방식이 복잡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게다가 올해부터 자동차 항목이 제외되고 기본공제금액이 1억원으로 상향되는 등 제도가 달라졌습니다.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 방법과 절차를 정리해 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그럼 우선 모의계산 사이트와 기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ntro
지역가입자란 직장가입자 및 피부양자를 제외한 모든 건강보험 가입자를 뜻합니다.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는 소득·재산 두 요소에서 산출한 부과점수에 점수당 금액(2025년 208.4원)을 곱해 계산합니다. 올해는 기본공제가 확대되고 자동차 항목이 빠져 부담이 다소 줄었습니다.
body
모의계산 절차는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온라인 계산기를 이용하면 간단합니다.
- NHIS 홈페이지 접속 → 보험료 계산기 항목 선택.
- "지역가입자" 메뉴 클릭.
- 전년도 총소득(사업·근로·연금·기타)을 만원 단위로 입력.
- 주택·토지 등 재산 과세표준 금액을 입력(전세보증금·월세 포함).
- "계산" 버튼을 누르면 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가 자동 산출.
산출식: 부과점수 × 208.4원 = 건강보험료 → 여기에 7.65%를 곱해 장기요양보험료를 더하면 최종 납부액이 됩니다.
QnA
질문?
소득이 0원이어도 보험료가 나오나요?
2025년 기준 연소득 336만원 이하면 소득점수가 0점이라도 생활수준점수 대신 재산점수가 적용됩니다. 최저보험료 19,78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질문?
임대차 보증금 공제는?
1세대 무주택자라면 전월세평가금액 1억5,000만원 이하까지 재산보험료 공제가 가능합니다.
질문?
자동차는 완전히 제외됐나요?
2024년 2월부터 지역가입자 보험료 산정 기준에서 자동차 항목이 폐지됐습니다.
질문?
부과점수 단가는 매년 바뀌나요?
그렇습니다. 2025년 현재 점수당 금액은 208.4원이며, 물가·보험재정 상황에 따라 조정됩니다.
질문?
장기요양보험료율은?
2025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건강보험료의 7.65%입니다.
질문?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나요?
세대 단위로 합산해 산정하며 가구원의 소득·재산이 모두 반영됩니다.
질문?
재산이 없으면?
재산점수가 0점이라면 소득·기본점수로만 부과되며 최저보험료가 적용됩니다.
질문?
상·하한선은?
2025년 지역가입자 월 보험료 상한은 4,504,170원, 하한은 19,780원입니다.
질문?
일시납 가능?
원칙적으로 월납이며, 체납 시 가산금이 붙습니다.
질문?
은퇴 후 보험료 줄이는 법?
퇴직금·연금 수령 시 소득분산, 주택금융부채 공제 활용 등이 있습니다.
conclusion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소득과 재산 두 축으로 결정되며, 부과점수 체계를 이해해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 NHIS 공식 계산기를 활용하면 복잡한 점수 계산을 자동으로 처리해 편리합니다. 제도 변화로 자동차 항목이 제외되고 공제 기준이 완화된 만큼, 최신 정보를 반영해 미리 시뮬레이션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공단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여기까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모의 계산을 알아봤습니다.